일반적으로 내년 식음료 업계의 추세를 소개할 때 유행하고 있는 식재료 혹은 요리에 대해 설명하지만, 2021년 같은 경우에는 다른 양상을 띨 전망이다. 이유는 모두가 알다시피 ‘코로나19’ 때문이다.
최근 뉴욕 국제 레스토랑 컨설팅 그룹 ‘Baum + Whiteman’가 최근 발표한 ‘식음료 트렌드 전망’에서 업계의 거시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,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레스토랑 수 감소
![]() |
나쁜 소식부터 시작하면, 식당 수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. ‘Baum + Whiteman’에 따르면 레스토랑 업계가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데, 패스트푸드, 드라이브 스루, 배달음식점이 완전히 회복하기까지는 2022년, 앉아서 먹는 음식점이 번성하기까지는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.
사람 간의 상호작용 감소
![]() |
불행히도, 2021년에 외식하는 것은 예전처럼 따뜻하고 친근하게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. 뷔페와 공유음식(sharing platters)이 감소하고 비접촉식 주문 및 요금 지불, QR 코드 등 안전을 위한 장벽이 강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. 내년 레스토랑 업계의 두 가지 중요한 도전 과제는 사업을 계속 유지하는 것과 코로나19 안전 법규를 지키면서도 따뜻하고 행복한 사회 경험을 만드는 것이다.
더 많은 집에서의 식사
![]() |
온라인 레시피 검색, 밀키트, 레스토랑과 앱을 통한 배달, 간식거리 등이 집에서의 지루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. 여행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‘향신료’를 활용한 음식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을 추천했는데, 한 식당 컨설턴트에 따르면 사람들이 “지역에서 쇼핑하면서도 전 세계에서 먹는 것처럼 식사할 것이다”라고 말하며 집 주변 마트에서 팔고 있는 다양한 국가의 향신료와 식재료의 사용을 전망했다.
음식 낭비를 줄이기 위한 전쟁
![]() |
최근 몇 년 동안 음식물 낭비를 줄이기 위한 ‘제로 웨이스트(Zero Waste)가 떠오르고 있다. 이제 많은 사람이 집에서 요리를 즐기고 있기 때문에, 음식의 도덕적, 환경적 그리고 재정적으로 낭비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이 인식되고 있다. Baum + Whiteman은 “2021년에는 음식물 쓰레기와의 싸움이 더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하는 데, 이는 과잉 재고가 있는 지역 식당들이 인근 굶주린 주민들에게 직접 공급하거나, 무료 또는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식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더 깊은 뿌리를 내릴 것이다”라고 설명했다.
소믈리에타임즈 유성호 기자 ujlle0201@sommeliertimes.com